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Zomboid
- Project Zomboid
- 사회
- RLMBO
- agar.io
- 시뮬레이션
- 코에이
- 인디
- 귀농
- 귀촌
- 인디게임
- 농장
- 경제
- 영걸전
- 삼국지
- 경영
- 경기
- 강좌
- 게임
- 삼국지 13
- 프로젝트 좀보이드
- 좀보이드
- 공략
- Her Story
- 좀비
- 스타듀 밸리
- 삼국지 영걸전
- autohotkey
- 오토핫키
- 강의
- Today
- Total
거울속의 그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발표 본문
한국은행이 또 금리인하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금융통화위원회가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인하했다는데요
지난해 6월 이후 1년 만이네요.
미국이 금리인상계획을 발표해서 따라갈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기사를 보니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처럼 갈듯보입니다.
아베노믹스가 막대한 부채로 실패한듯한데 한국이 따라하는것 같군요.
금리를 인하하면 사람들이 추가로 대출을 하게되고 저축보다 소비를 더 하게 됩니다.
소비가 늘어 경제가 활성화를 시키게 됩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인데요 낮은 금리를 이용하여 이곳저곳 투자하고 사업을 확장하게 되지요.
그에따라 고용이 늘고 경기가 좋아집니다.
뭐 겉으로 보기에는 한국은행이 정말 잘한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시장이 폐쇄적일때나 그렇다는것입니다.
한국은 전혀 시장이 폐쇄적이지 않습니다.
기준금리 인하는 해외투자자들과 국내투자자들이 국내에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국가를 찾아
이동하면서 자본들이 해외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본유출이 많아질수록 외화의 수요가 증가하고 환율상승 요인이 됩니다.
환율이 상승한다는것은 한국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는것인데요
기존보다 해외화폐를 적게 받아도 기존과 같은한국 화폐를 얻을 수 있으니 싼값에 수출을 할 수 있어서 수출이 증가합니다.
다만 기존보다 한국화폐를 많이 받아야 해외화폐랑 같은 가치가 되니 수입물가는 오르게 되죠.
수입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한국으로썬 또 물가상승 인플레이션이 온다는게 거의 확실하다는거죠.
또한 부동산시장으로 자본이 몰릴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땅값도 오를겁니다.
이 부동산 시장이 굉장히 민감한 사항인데 한국은 부동산 거품이 좀 심하거든요.
한국의 많은 정책들이 인위적으로 부동산 값을 끌어올려 거품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대출정책이 그중 하나인데요.
금리가 어떠한 내외부적 요인으로(내부적으론 감소하는 인구 외부적으론 미국발 금리인상이라던가)
오르기 시작하면 높아진 금리로 인하여 이자를 더 많이 내고
그 이자를 못견뎌서 (일자리를 잃거나 당초 계획했던 이자율보다 높거나) 경매로 나오고
수많은 경매매물이 나오지만 수요는 낮아져서
부동산 가격은 폭락하고 은행들은 본전도 못찾고
(어디서 많이 들어본 스토리죠?)
네 부동산매매에 대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썬 한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터질수 있다는겁니다.
아무튼
이미 세계적으로 높은 물가로 유명한데 먹고살기 힘든 서민들은 또 한번 곡소리 나겠습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이야기] 단통법의 되새겨보며. (단통법 상한제 폐지) -상- (0) | 2016.06.15 |
---|---|
가구당 순자산 3억6천만원 (0) | 2016.06.14 |
정부의 전력 가스 민영화 및 석탄과 연탄 가격 인상 (0) | 2016.06.14 |
집에서 담금주 만드실 때 조심하세요. (0) | 2016.06.13 |
한국의 부실채권의 위험 (0) | 2016.06.11 |